2015 《올해의 작가상 2015》 마동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올해로 4회를 맞이하는 <올해의 작가상>은 한국현대미술의 가능성과 비전 그리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작가들을 지원하기 위해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제도로서 2015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개최된다. 올해의 작가상의 공정한 진행을 위해 운영위원회(5인)를 발족하였고, 운영위원회는 추천위원(10인)과 심사위원(5인)을 별도로 위촉하였다. 각 추천위원은 1인/팀의 작가를 추천하였으며, 국내외 미술계 인사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정한…
Details
하태범 하태범(1974-)은 사진 이미지를 기반으로 영상 및 조각 작업을 하고 있는 작가이다. 작가가 주로 관심을 갖는 주제는 동시대의 사건, 사고 현장과 이것을 일반인들에게 전달하는 매스 미디어의 태도이다. 작가의 작품은 재앙적인 사건, 자연재해, 전쟁, 사고 현장들을 재구성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미디어에 노출된 테러, 범죄 현장 등의 보도사진을 수집하고 종이, 플라스틱 등을 사용해 흰 색으로 탈색된 오브제로 재현하여…
Details
오인환 오인환(1965-)은 특정한 공간과 시간의 문맥을 활용하는 참여적이고 장소특정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작가이다. 작가는 정체성의 문제에서 시작해 사회 전반의 규율과 예술의 상관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개념적이고 문화비판적인 작업을 시도한다. 작가는 자신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개인의 정체성과 집단과의 관계, 그 연결적 맥락에서 형성된 문화적 코드들을 해체하거나 재해석하며, 차이, 다양성, 소통 등 현대미술의 키워드를 작품으로…
Details
나현 나현(1970-)은 역사적 사건과 기록에 관한 자료를 구축하면서 다큐멘터리의 리얼리티를 확장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작가는 본인만의 다큐-아트 프로젝트를 구축하면서 역사적 사건 너머의 빈 여백을 예술적 상상력으로 채우며 역사학, 문화인류학, 민족지학적 실존자료를 바탕으로 아카이브의 수집과 분석, 구조적 재배치를 통해 새로운 미학적 탐색을 시도한다. 작가는 전방위적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치밀한 자료 리서치, 공문서 작성, 인터뷰, 작품 제작…
Details
김기라 김기라(1974-)는 영상 이미지 작품을 통해 예술과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작가이다. 작가는 정치적, 역사적 이슈를 다루는 작품을 통해 끊임없이 우리 사회에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자본주의 사회 작동의 메커니즘을 응시하는 작가는 한국사회의 특이한 현상을 소비와 착취, 열광과 냉소의 무한궤도로 파악한다. 자본주의의 장인(匠人)으로서 작가의 작업은 스펙터클 하지만 공허하고, 소박하지만 강렬하게 한국…
Details
#5 사진, 기록에서 예술까지 도구의 인간이 호모 에렉투스, 놀이하는 인간이 호모 루덴스라면, 지금은 호모 카메라쿠스의 시대쯤 되었을까? 오늘날 우리 일상 가장 가까이 있는 ‘사진’ 그리고 ‘카메라’ ‘사진’은 언제, 어떻게 예술이 되었고 우리는 카메라로 무엇을 표현하고 있을까? 한 해 가장 뜨거웠던 세계 미술 현장을 소개해온 SBS특집 다큐멘터리가 이번엔 ‘사진’에 주목했다. SBS 특집 현대미술 다큐멘터리 <사진, 기록에서…
Details
#4 미술사색 美術四色 2014년 여름, 우리 현대미술의 뜨거운 현주소를 다큐멘터리로 확인한다. 가수 장기하가 안내하는 현대미술작가 4인의 진지하고 발칙한 이야기! 국립현대미술관과 SBS 문화재단이 함께 주최하는 “올해의 작가상”이 3회를 맞았다. “올해의 작가상”은 지금 가장 주목받고 있는 4인 작가의 작품을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을 깊이 있는 현대미술로 가늠 할 수 있는 전시다. 특히 올해의 후보 작가 4인은…
Details
장지아 장지아(1973-)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된 것을 몸을 통해 다루는 작가로 퍼포먼스, 영상, 설치, 사진을 통해 구현한다. 작가는 사회적 시각을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로서의 몸을 다루기보다는 몸의 내적 깊숙한 부분, 감각체계로서의 몸을 다룬다. 고통과 쾌락은 우리의 실존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금기시되었던 욕망은 작가의 상상에 의해 현실에서 미적 언어로 탄생하고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는 본능을 들여다보게 한다. 작가는 작품화하기 어려운…
Details
노순택 노순택(1971-)은 분단 현실을 주제로 한 사진 작업을 한다. 분단이 실제로 우리 일상 가까이에 있으며 우리 사회와 개인의 삶을 어떻게 왜곡시켜 왔는지를 제시해왔다. 그는 다큐멘터리 보도사진에서 출발하여, 『분단의 향기』(2005), 『얄읏한 공』(2006), 『붉은 틀』(2007), 『비상국가』(2008) 등 다수의 책들을 출간해 왔다. 관통하는 주제는 분단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노순택은 한국 사회의 문제를 단지 이념의…
Details
김신일 김신일(1971-)은 ‘본다’는 시각적 행위를 통해 일상적 관념의 경계를 해체시키는 작업을 한다. 지속적인 정보 과부하(過負荷)와 세상의 범주화가 인간을 수동적으로 만든다고 생각하여 시각적 창조물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Ready-known)' 관념을 해체시키고자 하였다. 읽을 수 없이 겹쳐진 문자 구조물을 ’보는‘ 행위에 의해 문자의 의미는 유보되고 직관에 의한 감각적 측면이 대두된다. 김신일은 시지각에 대한 실험을 드로잉, 조각, 영상을 넘나들며…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