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메이크랩

언메이크랩
언메이크랩은 기계의 인식 작용을 엉뚱하게 이용해 알고리즘의 집착을 아이러니, 우화, 유머로 바꾸어 놓는다. 특히 데이터셋, 컴퓨터 비전, 생성 신경망 위에 한국의 발전주의 역사와 기계학습의 추출주의적 성격을 교차시켜 사회의 공간적, 생태적 맥락을 드러내는 접근을 해왔다. 이는 인공지능의 미래예측적 본성을 비틀어 과거의 사건을 재조명하는 렌즈로 삼는 작업이기도 하다.

Interview

CV

언메이크랩(최빛나, 송수연)
2016년 결성
서울에서 거주 및 활동

주요 개인전 및 프로젝트

2023
《인기생물》, 아트스페이스 보안 2, 서울, 한국
2019
《오퍼레이션 룸》, 임시공간, 인천, 한국
2018
《전체적 데이터 카탈로그 : 행복을 찾아서》, 공간 사일삼, 서울, 한국
2017–현재
포킹룸, 서울, 한국

주요 단체전 및 스크리닝

2025
《올해의 작가상 202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땅거미 지는 시간》, 코리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24
ARE YOU FOR REAL Phase 2: Agents of Fluid Predictions (온라인 스크리닝)
Carnival of Shipwreck, The Bridge, 토론토, 캐나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 모두의 울림》,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광주, 한국
《예측 (불)가능한 세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한국
2023
《미안해요, 프랑켄슈타인》,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한국
《Nine Nodes of Non-Being》, 421,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신소장품전: 시간을 소장하는 일에 관하여》,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2022
《Mobile Scenarios for the Metamorphic Beings》, Framer Framed,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구로, 청춘 2022: 공장도시》, G밸리산업박물관, 서울, 한국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이례적인 시간, 불확실한 움직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2021
《오픈 코드. 공유지 연결망》,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진주 잠수부》,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언폴드엑스 《디지털 스토리텔러스》, DDP 디자인뮤지엄, 서울, 한국
《서해평화예술프로젝트: 언리얼 월드》, 임시공간, 인천, 한국
2020
《Tangible Error》, d/p, 서울, 한국
《*c-lab 4.0: 언택트 UN+CONTACT》, 코리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9
《잠금해제》, 민주인권기념관, 서울, 한국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코리아나미술관, 서울, 한국
2018
《The Dutch Savannah》, Museum De Domijnen, 시타르트, 네덜란드
《베틀, 배틀》, 토탈미술관, 서울, 한국
2017
2017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오래된 미래》,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광주, 한국
《미래기지, 내일을 위한 프로젝트 아카이브》, 문화비축기지 T1, 서울, 한국
《불멸의 임시변통》, 문래예술공장, 서울, 한국
《우리의 밝은 미래 – 사이버네틱 환상》,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do it 2017, 서울》, 일민미술관, 서울, 한국
2016
《마이크로시티랩》, 인디아트홀 공, 서울, 한국

주요 강연 및 워크숍

2024
광주비엔날레 심포지엄 「새로운 울림: 인류세 시대의 예술과 기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에콜로지컬 퓨처스」, 서울대학교 파워플랜트, 서울, 한국
2023
「그린 뉴딜을 위한 탈식민적 큐레이토리얼 어젠다」,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
「Climate Future#2: Belonging and Shared Responsibilities」, NTU CCA, 싱가포르
「재난, 기계학습, 데이터셋-팅」,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국제 심포지엄 「순환성」,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한국
2022
「이상행동, 멸종 그리고 데이터셋」, ADL, 서울, 한국
「재난학교」, KAIST 인류세연구센터, 대전, 한국
「문장채굴자: 인공지능과 함께 글쓰기」, 경기문화예술교육랩, 수원, 한국
2021
「인공지능 데이터셋 팅커링하기」, 이음센터, 서울, 한국
2020
「일반자연, 느린 재난: 재난 시대의 삶」, 코트, 서울, 한국
「팀러닝 2020 : Teaching Game」,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콜라이더랩, 서울, 한국
2019
「Label Me! : 데이터 팬터마임」, 백남준아트센터, 용인, 한국
2017
「미디어아트 스튜디오 : 데이터 공작」,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한국
「유러피언 랩 포럼」, Les Subsistances, 리옹, 프랑스

주요 기금

20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과기술융합지원, 한국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과기술융합지원, 한국
2020
서울문화재단 융합예술 창·제작지원사업 언폴드엑스, 한국

주요 레지던시

2024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서울, 한국
2020
금천예술공장, 서울, 한국

주요 출판물

2024
이계성·최빛나. 「장난감 모형과 취한 시인 – GPT와 생성성의 모델」. 『포킹룸 웹 저널』
2023
곽영빈·김승일·백희원·윤원화·이계상·심효원. 『잠재공간 속의 생태학 : 재난, 생성신경망, 그리고 비미래』. 서울: 미디어버스
이계성·최빛나. 『맥락과 우연—GPT와 추출적 언어학』. 서울: 미디어버스
2021
언메이크랩. 『아포페니아 그리고 시시포스 데이터셋』. 용인: 백남준아트센터
2017
언메이크랩. 『키트의 사회문화사: 1960–1980』. 서울: 세운랩
2015
최빛나. 『일반 자연을 위한 매뉴얼』. 서울: 미디어버스

주요 소장처 

백남준아트센터, 한국
서울시립 서서울미술관, 한국

Critic 1

Critic 2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