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아트, 퀘스천 # 현대미술과 관객은 무슨 사이? 올해로 11년째를 맞이한 <올해의 작가상>은 대중과 현대미술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축제의 장이다. 이를 통해 미술관을 찾는 관객이 매해 증가했으며, 그만큼 대중의 관심도 커졌다. 하지만 여전히 현대미술을 어렵게 느끼는 이들 또한 많은 상황. 이럴 때 필요한 건 뭘까? # 관객, 예술가에게 질문을 던지다. 모를 땐 물어봐야 한다. 현대미술도 마찬가지. 관객들이…
Details
#13 예술뒷담화 # 작정하고 털어놓은 예술뒷담화 대한민국 최고권위의 미술상 <올해의 작가상>은 지난 10년간 매해 4명(팀)의 작가를 배출해왔다. 이들은 각종 미디어의 관심 속에 대중에게 이름을 알렸고 해외에서 호평받으며 활약해왔다. 그렇다면 전시가 끝난 이후엔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 예술하는 삶은 실제로 어떤 모습이고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작가들이 모여 나누는 사적 대화의 현장에 찾아가 본다. # 예술가의 현실고민 장지아 작가(2014…
Details
#12 아트게임 # “난해하다”, “이것도 예술인가?”.“ 이런 건 나도 하겠다..” 현대미술 작품을 볼 때면 이런 생각들이 떠오르기 마련이다. 아름답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어 작가의 손길이 닿지 않은 기성 제품을 그대로 활용하는 등 우리가 보통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기대하는 것들이 현대미술엔 없다. 그래서인지 관객과 현대미술의 거리두기는 끝나지 않을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다. '올해의 작가상'은 대중과 현대미술의 거리를…
Details
#11 팬데믹, 예술, 거리두기 # 예술을 멈추게 한 ‘코로나19팬데믹’ 전염병이 창궐하며 우리의 일상뿐 아니라 예술 또한 위기를 겪고 있다. 세계곳곳에서 예정되어 있던 예술축제가 취소되고, 미술관은 기약 없는 휴관에 들어갔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 두기 만큼이나 멀어진 예술과 사람의 거리. 생명이 위협받는 전염병의 시기에, 예술은 과연 살아남을 수 있을까. #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작가의 삶이란? 대중과 현대미술의…
Details
#10 우리의 언어가 예술이라면 # 요조, 현대미술을 만나다 우리는 생각과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다. 평범한 사람들과 달리, 아티스트는 예술이라는 개인적 언어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그들의 언어는 때때로 어렵고 난해하지만 우리가 미처 보지 못했던 부분, 당연하게 여겼던 이야기들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주곤 한다. 아티스트 요조는 가수에서 작가, 팟캐스트 진행자, 책방 주인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과 소통한다. 늘…
Details
#9 이야기, 예술이 되다 # 이것이 예술인가요? 많은 사람들이 현대미술이라는 낯선 세상 앞에서 길을 잃고 당황하곤 한다. 수백억의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유명 작품을 보아도, 대체 이게 왜 예술인지조차 모르기 일쑤. 비싸거나, 혹은 어렵다는 인식 속에, 현대미술은 소통의 문이 닫힌 그들만의 리그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관에 묻힌 듯 조용히 잠들어있던 미술관이 조금씩 들썩이고 있다. 잠들어있던 미술관을…
Details
#8 서바이벌, 아티스트 - 당신이 모르는 이야기
Details
#7 ‘남’을 위한 행진곡 ‘2016 올해의 작가’ 믹스라이스, ‘이주’를 기록하다 이민자를 위해 활동하는 현대예술가 조명 혐오의 시대, 예술의 역할 최근 ‘이주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뜨겁다. 지난해 6월, 영국이 ‘반(反) 이민’, ‘반 난민’을 외치며 유럽연합(EU) 탈퇴를 결정지은 데 이어, 이민자의 나라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그의 ‘반(反) 이민정책’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이민자들을 배척하고 혐오하는 정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이때,…
Details
#6 밥값 하는 미술 SBS 아트멘터리 “밥값 하는 미술”은 가수 타블로의 내레이션으로 ‘과연 현대미술이 우리사회에 필요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미국, 유럽을 돌며 세계적인 작가들과 미술평론가와 예술사회학자들을 만난 함께 고민한다. 먼저 대한민국을 대표할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하고, 세계적인 작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올해의 작가상” 2015년에는 오인환 작가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그의 작품…
Details
#5 사진, 기록에서 예술까지 도구의 인간이 호모 에렉투스, 놀이하는 인간이 호모 루덴스라면, 지금은 호모 카메라쿠스의 시대쯤 되었을까? 오늘날 우리 일상 가장 가까이 있는 ‘사진’ 그리고 ‘카메라’ ‘사진’은 언제, 어떻게 예술이 되었고 우리는 카메라로 무엇을 표현하고 있을까? 한 해 가장 뜨거웠던 세계 미술 현장을 소개해온 SBS특집 다큐멘터리가 이번엔 ‘사진’에 주목했다. SBS 특집 현대미술 다큐멘터리 <사진, 기록에서…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