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승 정희승은 대상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가능성과 한계들을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그는 사물과 신체, 공간 등을 다루면서 매체의 즉물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텍스트를 활용하여 이미지와 언어라는 불완전한 소통 도구들 사이의 관계를 조명하기도 한다. 고은사진미술관(2017), 아트선재센터(2013)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대구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Interview CV정희승 (1974. 한국) 교육 2007 런던 컬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 사진학과…
Details
정윤석 정윤석은 특정한 사회적 사건에 초점을 맞춰 그 이면을 파헤치는 이야기 속에서 개인의 삶과 국가 제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인간의 양면성을 드러내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해 왔다. 1990년대의 살인집단 지존파 사건을 다룬 <논픽션 다이어리>(2013)나 하드코어 인디 밴드를 소재로 한 <밤섬해적단 서울불바다>(2016)가 대표적이다. 시각예술작가이자 영화감독으로 활동 중이며 베를린 국제영화제(2014), 시체스국제판타스틱영화제(2014) 등에서 수상했다. Interview CV 정윤석 (1981. 한국)…
Details
이슬기 이슬기는 인간의 생활과 직접 관련된 사물과 언어, 자연에 대한 관심을 조형적 조각이나 설치로 표현하는 작업을 지속해 왔다. 그는 특히 민속에서 소재를 얻어 공예 장인들과 협업하는 방식을 즐겨 사용하는데, 통영의 누비 이불 장인, 멕시코의 전통 바구니 조합 장인들과의 협업 등이 대표적이다. 프랑스 파리에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으며, 파리 국립예술센터와 호주 빅토리아 국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Details
김민애 김민애는 개인이 사회 속에서 경험하는 모순적 상황들을 조각을 통해 표현하거나 건축 공간에 개입하는 장소특정적 설치물을 통해 구조/제도와 틀 자체를 비트는 작업을 발표해 왔다. 이러한 작업들은 특히 미술관이라는 물리적 공간이자 제도적 환경 속에서 미술의 성립조건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졌다. 아뜰리에 에르메스(2018), 두산갤러리 뉴욕 (2015) 등에서 개인전을 가진 바 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Interview…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