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지아

장지아 장지아(1973-)는 사회적으로 금기시된 것을 몸을 통해 다루는 작가로 퍼포먼스, 영상, 설치, 사진을 통해 구현한다. 작가는 사회적 시각을 반영하는 문화적 산물로서의 몸을 다루기보다는 몸의 내적 깊숙한 부분, 감각체계로서의 몸을 다룬다. 고통과 쾌락은 우리의 실존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금기시되었던 욕망은 작가의 상상에 의해 현실에서 미적 언어로 탄생하고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는 본능을 들여다보게 한다. 작가는 작품화하기 어려운… Details

노순택

노순택 노순택(1971-)은 분단 현실을 주제로 한 사진 작업을 한다. 분단이 실제로 우리 일상 가까이에 있으며 우리 사회와 개인의 삶을 어떻게 왜곡시켜 왔는지를 제시해왔다. 그는 다큐멘터리 보도사진에서 출발하여, 『분단의 향기』(2005), 『얄읏한 공』(2006), 『붉은 틀』(2007), 『비상국가』(2008) 등 다수의 책들을 출간해 왔다. 관통하는 주제는 분단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노순택은 한국 사회의 문제를 단지 이념의… Details

김신일

김신일 김신일(1971-)은 ‘본다’는 시각적 행위를 통해 일상적 관념의 경계를 해체시키는 작업을 한다. 지속적인 정보 과부하(過負荷)와 세상의 범주화가 인간을 수동적으로 만든다고 생각하여 시각적 창조물을 통해 ‘이미 알고 있는(Ready-known)' 관념을 해체시키고자 하였다. 읽을 수 없이 겹쳐진 문자 구조물을 ’보는‘ 행위에 의해 문자의 의미는 유보되고 직관에 의한 감각적 측면이 대두된다. 김신일은 시지각에 대한 실험을 드로잉, 조각, 영상을 넘나들며… Details

구동희

구동희 구동희(1974-)는 진부한 일상에서 출발하여 퍼즐을 맞추듯 우연적 상황을 개입시키면서 영상, 설치 등의 작업으로 작품을 풀어나간다. 작가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에 관심을 가지고 TV, 인터넷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해 간다. 작가는 작품 제작 과정에서 물리적 한계 상황을 수용하고 작가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처음 의도와는 다르게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즐긴다. 뿐만 아니라 설명적일 수 있는 요소를… Details

2014

2014 《올해의 작가상 2014》 박수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올해의 작가상(2012-)’이 제 3회를 맞이했다. 이 제도는 공정하고 개방적인 작가 선정과 지원에 큰 비중을 두고 동시대 미술계에 응답하는 현장 중심적이며 실질적인 미술후원 제도를 지향하고 있다. SBS문화재단과 공동주최로 진행되는 이 제도는 실험성과 참신성을 갖추고 한국 미술계는 물론 세계 미술계에 새로운 이슈와 담론을 창출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작가들을… Details

함양아

함양아 함양아는 서울대학교에서 회화, 동대학원에서 미술이론을 공부한 후 뉴욕대학원에서 미디어아트를 전공했다. 이후 서울, 뉴욕, 암스테르담, 이스탄불 등을 오가며 영상뿐 아니라 조각, 설치, 오브제 등 다양한 매체를 실험적으로 설치하는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미디어아티스트로서 함양아는 인간의 삶을 기저로 한 우리 사회의 단면들을 은유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통해 독특한 내러티브를 작품에 담아낸다. 2004년 다음작가상 수상, 200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선정한 올해의… Details

조해준

조해준 조해준은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조형예술대학에서 그래픽을 공부했다. 서울과 프랑크푸르트에서 활동하는 작가는 2002년부터 아버지 조동환과 공동 작업을 시작하여 아버지의 개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드로잉 시리즈 [1937년부터 1974년까지], [1974년부터 2008년까지]를 진행하고 있다. Interview CV<주요 개인전> 2008 조씨연대기-조동환 & 조해준, 아트 스페이스 풀, 서울 2005 
개척자의 방문, 쌈지스페이스, 서울 2003 생각하며 일합시다, 신세계갤러리, 광주 2002 믿음, 사랑,… Details

신미경

신미경 신미경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및 동 대학원에서 조소를 전공하고 런던대학 슬레이드 미술대학 대학원에서 조각을 공부했다. 작가는 런던과 서울을 오가며 특정 문화를 대표하는 역사적 유물과 예술품을 비누를 이용해 현재의 관점에서 재현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작가는 다양한 종교적, 역사적, 문화적 문맥에 대한 경험을 도자기와 불상을 비누 조각으로 ‘번역’하는 작업으로 절대적 가치에 대해 질문한다. Interview CV<주요 개인전> 2012… Details

공성훈

공성훈 공성훈은 서울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한 후 서울산업대학교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하였다. 서양화로 작업을 시작했지만 주로 수제작한 멀티슬라이드 프로젝션 설치작업을 발표하며 주목 받았다. 개념적인 설치작업 이후 2000년부터 현재까지 다시 회화를 통해 익숙한 일상을 다룬 풍경화에 집중하고 있다. 2013년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며 밀도 높은 심리적 차원에서 회화를 보여주는 작가로 평가 받았다. Interview CV<주요개인전> 2012 파도, OCI 미술관, 서울 2011… Details

문경원 • 전준호

문경원 • 전준호 문경원과 전준호는 2009년부터 공동으로 ‘예술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3가지 형태로 작업화하고 있다. 미술과 인접한 예술로서 건축가, 패션디자이너, 산업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오늘날 미래가 갖는 의미를 묻는다. <공동의 진술 Voice of Metanoia - 두 개의 시선>에서 문경원과 전준호는 이전 프로젝트 ‘News from Nowhere’를 통해 터득한 “예술은 인간 인식의… Details